본문 바로가기
3D 프린트 와 Makers

3D 프린터의 인쇄방식에 따른 종류 [DOD/SLS/BJ/LOM/AOM]

by Choi-sun 2020. 2. 16.

 

인쇄종류1

 

3D 프린터는 인쇄방식에 따라 그 종류가 다양하게 나누어 집니다.  계속 발전하고 업그레이드 되는 3D 프린터이지만 현재 크게 분류하면 아래와 같이 나누어 진다 생각됩니다. 

 

이렇게 다양한 3D 프린터는 종류에 따라 어떠한 기술과 방식으로 프린트 되는 것일까요? 

이러한 종류와 개념을 쉽게 이해하기 위해 간단한 설명과 함께 관련된  영상을 링크하여 소개합니다. 

 

(글로는 이해가 어려운 부분도 많아 이미 소개되어 있는 유투버 영상을 함께 올립니다.  이해에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인쇄종류2
3D 프린터의 인쇄방식에 따른 종류 구분

 

 

 

FDM와 SLA 

3D 프린터중 많이 알려져 있는 고체기반프린터와 액체기반 프린터는 이전글에서 비교와 함께 언급하였기에 아래 링크되어 있는 이전글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3D프린터 FDM(고체)와 SLA(액체)는 어떻게 다를까?

 

3D프린터 FDM(고체)와 SLA(액체)는 어떻게 다를까?

3D 프린터에서 재료 및 제품을 출력하는 방식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습니다. 그중 3d펜에서도 사용되는 필라멘트라는 소재로 프린터 하는 FDM과 인터넷에 출력 대행하는 업체들이 이용하는 한 종류인 SLA에 대..

freefen.tistory.com

 

 

DoD (Drop On Demand) 

Polyjet(photpolymer jetting) 방식이라고도 불리며 헤드에서 잉크를 분사하듯 액상재료를 분사한 후 UV 램프로 건조 경화시켜  3d 프린팅하는 방식입니다.  가장 많은 재료로 사용가능 하며 다양한 색을 낼 수 있습니다. 

 

 

https://youtu.be/-qpmE5Sl0s0

Polyjet 프린터 소개 영상 by Javelin Technologies Inc.

 

 

SLS (Seletive Laser Sintering) 

 

분말재료를 기반으로 하는 "분말적층용융"이라는 방식입니다. 1980년대 중반에 개발된 이 방식은 레이져 빔(일반적으로 CO2 레이저)을 이용해  슬라이스된 CAD 데이터에 따라 각 분말 층을 선별적으로 가열해 융합시켜 입체 구조를 만드는 기술입니다.   이 과정에서 용해되지 않은 가루, 즉 입체화 되지 않은 분말이 출력되는 물체의 서포트(support)  역할을 합니다. 

 

https://youtu.be/QsWnBlvXkCc

SLS 프린팅 방식의 설명 by 세중정보기술

 

BJ (Binder Jetting) 

 

 

 

"접착적층"방식으로 석고파우더와 같은 가루에 Binder역할을 하는 칼라본드를 사용하여 층별로 쌓아 제작하는 방식입니다.  잉크젯 프린터처럼 접착체를 헤드에서 원하는 위치에서 분사하고 그 이후 분말을 접착제위를 덮어 적층해서 객체를 만들어 갑니다.  이 방식 또한 접착하지 않은 분말이 서포트역할을 해주기에 복잡한 형상에 적합하게 적용할 수 있습니다.  장점은 다양한 재료 혹은 다양한 색상이 가능하고 제작비가 상대적으로 저렴한 반면 석고분말등 이용식 석고정도의 약한 강도가 단점이고 저가형의 경우 단색만 가능합니다.  피규어류의 전시제품제작에 비교적 많이 쓰입니다. 

 

https://youtu.be/97doBH9jSXY

BJ printer 소개 by Proxima 3D

 

 

LOM (Laminated object manufacturing 

적층가공방식 LLM(Layer Laminated Manufacturing)이라고도 하며 프랫폼에 얇은 판재(종이)가 펼쳐지면 CO2레이저 혹은 칼등을 이용해 오리고 미리 공급된 접착제 혹은 한쪽면에 도포된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며, 오린 재료위에 다시 한번 재료가 한층 더  공급되어 가열된 롤러에 의해  적층이 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프린팅이후 내부를 비울수 없기 때문에 객체의 내부를 비워야 하는 설계에서는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m0b3WIS2nqw

LOM 소개 영상 by LEARN AND GROW

 

 

AOM(Anti-gravity Object Modeling)

"선형 분사" 방식이며, 공기중에 원료를 굳여 프린팅이 되어 곡선 직선등 자유로운 프린팅이 가능하며 서포터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https://youtu.be/GgP4kC_wyeI

Mataerial의 AOM 영상 _ TheWorldNewsChannel7 

 

3d 프린터 운용기능사 필기시험을 위해 좀더 더 심층적인 설명이 필요하다면 하기의 블로그 글을 보시면 좋을 듯합니다.  원리 이미지등  자세하고 친절한 설명이 있는 블로그입니다.  

                 

[자료참고출처]

https://blog.naver.com/cjysy7/220568566072

https://blog.naver.com/chewymill/221338579589

https://blog.naver.com/cjysy7/220305311724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