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3D 프린트 와 Makers

도서관에서 사용하는 3D프린터

by Choi-sun 2020. 1. 28.

 

 

도서관3d프린터섬네일

 

 

며칠전 3D프린터에 대한 블로그 글을 읽었습니다.  "도서관에서 사용하는 프린터"라는 글인데, 읽다보니 과연 한국에서는 이렇게 공공에서 이용할 수 있는 곳은 없을까? 라고 찾아 보게 되었습니다.

 


가까운 도서관에서 사용하는 3D 프린터 in 미국도서관

다니엘 데른의 블러그에서..

 

공공도서관은 항상 책, CD, DVD, 잡지를 빌리러 갈 수 있는 곳이었습니다. 그리고 최근에는 3D 인쇄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미국도서관협회(ALA) 정보기술정책자문위원회(OITP) 단 리 자문위원장은 "라이브러리들은 3D 프린팅과 디자인의 세계로 가는 길 위에서 대중을 대표한다"고 말했습니다.

 

ALA의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에는 3D 프린터를 대중에게 제공하는 428개 이상의 공공 도서관 지점이 있습니다.

이 3D 프린터들 중 일부는 테이블 위에 놓여진 데스크탑 프린터입니다. 다른 것들은 좀 더 포괄적인 제조분야의 일부분입니다.

 

[ 오역이 있을수 있어 원문을 같이 올립니다.]

 

Public libraries have always been the place where you can go to borrow books, CDs, DVDs, and magazines. And in recent years, it’s now where you can go for 3D printing services.

"Libraries represent the public on-ramp to the world of 3D printing and design,”saidDan Lee, chair of the Advisory Committee for theAmerican Library Association’s (ALA) Offi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Policy (OITP).

 

According to areport from ALA, there are over 428 public library branches in the United States that offer 3D printers to the public.

"Public libraries have evolved from just being depositories for books and other media to centers for communities," says Ramiro Salazar, president of the Public Library Association (PLA), a division of ALA. "3D printers are one of the tools that libraries are using to provide opportunities for community engagement and collaboration."

Some of these 3D printers are desktop printers placed on a table; others are part of more comprehensive makerspaces.

내용 출처 : https://blog.grabcad.com/blog/2019/12/11/library-3d-printers/

 


글을 읽다 생각한 것은 우리는 어떨까?  우리는 도서관에서 이용할 수 있는 3D프린터가 있을까?

 

검색해보니 광명시 도서관에서 2019년 12월 26일개소뿐 아니라 충남도서관및 각지의 공공의 장소에서 3D 프린터를 체험,이용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었습니다. 

 

2019년 10월 중소벤처기업부에서 발행된 "혁신활동 분석을 통한 메이커스페이스 발전방안: 전문랩을 중심으로"에 따르면"세계적으로 메이커운동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메이커 문화의 확산 및 혁신 제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해 메이커스페이스 구축을 추진하고 있다. 이에 본 보고서에서는 메이커스페이스의 핵심장비 중 하나인 3D 프린터(3D 프린팅) 관련 특허활동을 분석하여 메이커스페이스 전문랩에 대한 발전 방안을 제시하였다." 라고 합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공공과 못지않게 민간이 운영하는 메이커 스페이스가 많다는 것을 알수 있었습니다.

 

 

출처: 중소벤처기업부

 

출처: 중소벤처기업부

 

메이커스페이스는 3D프린터뿐만아니라 레이저커터등 다양한장비를 구비하여 사용자들의 창착,창업을 지원하는 공간입니다.  2018년 65개소를 시작으로 현재 총 128개소의 메이커 스페이스를 전국에 조성해 운영 중인  중기부는 올해 ‘교육과 체험’ 중심의 일반형 공간 60개소와 전문창작과 창업연계 기능의 전문형 공간 4개소를 추가로 조성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그럼 우리가 이용할 메이커스페이스는 어떻게 사용할까요?

PC나 모바일웹를 이용하실 수 있으시면 사이트에 들어가서 예약하시면 됩니다. 

다만 장비라 안전상의 문제로 사전에 미리 교육을 받으셔야 하는 곳이 있으니 참고 하십시오. 

 

지역마다 도서관에서 사용가능한 곳도 있고, 메이커스페이스는 다양하게 있겠지만  맵으로  전국 메이커스페이스를 보기 편한 곳이 있어 참고하시라고 남겨 둡니다.  여기 표기안되어 있는 메이커스페이스도 있으니, 주변의 장소는 좀더  검색하심이.....

 

메이커스페이스 검색하기

https://www.makeall.com/reservation/?tsort=4&msort=

 

메이크올

대한민국 메이커 운동의 시작

www.makeall.com

 

메이커스페이스 맵 보기

https://www.makeall.com/reservation/map.php?tsort=4&msort=

 

메이크올

대한민국 메이커 운동의 시작

www.makeall.com

 

메이커스페이스구축 창업에 관심이 있으시다면...

https://www.k-startup.go.kr/homepage/businessManage/businessManageFunction.do?mid=30502&sid=410&itemSeq=299162&bizCategoryCode=BIZ_CC_5

 

사업안내<메이커 스페이스 구축<시설·공간<k-startup< p=""> </k-startup<>

지원예산 및 규모 33,180백만원, 전국 64개 메이커 스페이스 - ’18~’19년 선정된 메이커 스페이스(128개) 지원예산 포함

www.k-startup.go.kr

 

 

댓글